여행지
[userpro template=login]
원화보기
맨위로
그랑비아, 그란비아 (Avenidas de Gran Via)

세르비아 공화국(세르비아어: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레푸블리카 스르비야), 약칭 세르비아(세르비아어: Србија 스르비야, 문화어: 쓰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다.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는 오랜 역사를 지녔으며, 남유럽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다.
세르비아인들은 발칸 반도에 정착한 후 세르비아 왕국을 건설했으며, 이 나라는 세르비아 제국으로 발전하여 14세기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16세기에 세르비아 땅은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하였으며, 합스부르크의 침략을 받기도 했다. 19세기 초에 세르비아 혁명이 일어나면서 발칸 반도 최초로 입헌 군주 체제를 세웠으며, 뒤이어 영토를 늘리고 이 지역에서 봉건주의농노제를 폐지하는 데 앞장 섰다.[1][2]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1918년보이보디나 주가 세르비아에 귀속되었다.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를 비롯해 여타 남 슬라브 민족들과 함께 유고슬라비아로 통합하여 존속하다가 1991년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된 이후 몬테네그로와 함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을 구성하였다. 2006년 6월 5일, 두 나라도 분리되었다. 2008년 2월에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이루는 남부 지역의 코소보가 독립을 선언했다. 세르비아는 코소보를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UNMIK)이 통치하는 자치주로 보고 그 독립을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러시아, 스페인, 그리스 등을 제외한 많은 나라들이 코소보를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세르비아는 유엔, 유럽 평의회, 흑해 경제 협력 기구, 중앙유럽 자유 무역 협정 회원국이다. 국제 통화 기금에서는 세르비아를 신흥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며, 세계 은행에서는 이 나라의 소득 수준을 중상류로 본다.[3] 세르비아는 인간 개발 지수가 높은 수준이며,[4] 프리덤 하우스에서는 2008년에 세르비아를 발칸 국가 가운데 몇 안 되는 '자유 국가'로 등재했다.[5] 이 나라는 유럽 연합 가입을 신청한 상태이며, 국제적으로 중립국이다.[6][7]
6세기발칸 반도를 침공한 슬라브족은 여러 개의 작은 왕국을 수립했지만 오래 가지 못하고 소멸되고 만다. 780년경부터 830년 사이에는 비셰슬라브(Višeslav), 라도슬라브(Radoslav), 프로시고이(Prosigoj)가 차례대로 세르비아를 지배했는데 유럽에서 경쟁 관계에 있던 불가리아 제1제국, 비잔티움 제국, 프랑크 왕국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했다.
830년경에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은 블라스티미르(Vlastimir) 공작이 발칸 반도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던 불가리아 제1제국을 물리쳤다. 이를 계기로 세르비아에는 블라스티미로비치(Vlastimirović) 왕조의 지배를 받은 중세 세르비아 공국이 수립되었다. 850년에는 무티미르(Mutimir) 공작이 동방 정교회를 세르비아의 국교로 정하면서 기독교 세례를 받게 된다. 중세 세르비아 공국은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등으로 세력을 확장했지만 969년 비잔티움 제국에 합병되면서 소멸되고 만다.
1091년에는 현재의 노비파자르에 세워진 도시인 스타리라스를 수도로 하는 세르비아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166년에는 스테판 네마냐가 세르비아의 대공으로 즉위한 뒤부터 세르비아의 여러 부족을 통일했다. 스테판 네마냐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투쟁에서 승리한 이후에 독립된 세르비아의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네마냐 왕조 시대를 열었다.
1217년에는 스테판 네마니치가 세르비아의 국왕 칭호를 받으면서 세르비아 대공국은 중세 세르비아 왕국으로 격상되었다. 1219년에는 스테판 네마니치의 동생인 성 사바에 의해 세르비아 정교회가 설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세르비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주교에서 분리된 교회로 인정받았다.
14세기 중엽에는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석권하는 등 세력을 떨쳤으나 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패하고,[8]:201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들어갔다. 결국 당시 이들의 중심지였던 보스니아는 동서양의 상반되는 세력에 오랫동안 굴복당해야 했다.[8]:201
1817년에는 세르비아 공국이 수립되었다. 세르비아 공국은 1830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한 자치권을 획득했으며 세르비아 공작의 세습도 인정받았다. 공국 수립 당시의 영토는 오스만 제국의 베오그라드 파샤 관구가 있던 곳에 불과했지만 1831년부터 1833년까지 공국의 영토가 동쪽, 남쪽,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1867년 4월 18일에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 공국에서 군대를 철수하면서 세르비아 공국은 사실상 독립했다. 1878년 7월 13일에 체결된 베를린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 공국의 독립을 법적으로 승인하면서 세르비아 공국은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1882년을 기해 세르비아 왕국으로 개편되었다.
세르비아 왕국은 민족적으로는 슬라브족에 속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간섭에서 자유롭지 못하였으므로 범슬라브주의와 범게르만주의가 교착되는 등 국내 정세가 복잡하였다. 알렉산다르 1세1903년에 서거한 뒤, 다음 왕인 페타르 1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노력하였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력확장 정책과 유럽 열강들의 이해 대립이 발칸을 화약고와 같은 상태로 몰아넣었다.
190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오스트리아-헝가리에 병합되고, 1914년에는 세르비아의 대학생인 가브릴로 프린치프에 의한 총격이 발생하여,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를 사라예보 사건이라 한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다.
1914년 6월 28일 세르비아 출신의 가브릴로 프린치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였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한 사라예보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이 일어난 지 한 달 뒤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게 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집요한 침략에 세르비아는 잘 막아냈지만, 1916년 2월부터 한동안 점령당했다. 1918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빼앗긴 땅을 수복하고 보이보디나 주를 편입하였으며, 1920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1년 3월 25일에는 추축국 진영에 가담했지만 같은 해 3월 27일에 일어난 친(親)영국파 세력의 쿠데타로 인해 탈퇴하고 만다. 추축국 진영에 있던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하게 된다. 유고슬라비아는 소련의 지원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을 통해 1943년부터 1945년 사이에 영토를 수복했다. 이를 계기로 요시프 브로즈 티토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수립하게 된다.
1980년 티토가 사망한 이후에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민족주의 여론이 형성되었다. 동구권의 민주 혁명 및 민족주의가 대두함에 따라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사이에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연방의 중추적 국가였던 세르비아가 이에 반발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에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일으켰다. 세르비아 군인들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보스니아 전쟁, 코소보 전쟁에서 민족 청소 등 반인륜적 전쟁 범죄를 자행했는데 이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미국의 군사 개입을 부르게 된다.
2003년 2월에는 신 유고 연방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명하였으며, 2006년 5월 몬테네그로가 분리 독립 투표에서 독립을 가결시킴으로써 같은 해 6월 5일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되어 세르비아 공화국과 몬테네그로 공화국으로 분리되었다. 2008년 2월 17일, 코소보가 세르비아에서 분리 독립을 선언하였다.
세르비아는 남동부 유럽 발칸 반도판노니아 평원에 자리잡고 있으며, 다뉴브 강이 북쪽 지방을 흘러간다. 세르비아는 북쪽으로 헝가리, 동쪽으로 루마니아불가리아, 서쪽으로 크로아티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몬테네그로, 남쪽으로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며, 남쪽의 코소보와 분쟁 중에 있다.
동쪽 국경에는 카르파티아 산맥이 있고, 벨리카 모리카라고 하는 500km 길이의 강이 흐른다. 남동부 지방에는 발칸 산맥이 로도프 산맥과 맞닿아 있고, 그리스와 마주한다. 세르비아 영토의 4분의 1 이상은 숲으로 되어 있다.
세르비아는 29개 구(세르비아어: Округ, okrug)와 1개 특별시(베오그라드 시)로 구성되어 있다.
세르비아는 헝가리인이 많이 사는 보이보디나 자치주알바니아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코소보 자치주를 포함했었다. 그러나, 코소보는 코소보 전쟁 이후 유엔의 관할 아래 있어 사실상 세르비아의 주권이 미치지 못했고, 미국영국 등 서방국가들의 지원 하에 2008년 2월 17일 독립을 선언해 세르비아의 통치 지역에서 분리 독립되었다.
의원내각제 국가인 세르비아는 대통령보다 총리의 실권이 크고, 대통령은 상징적인 역할에 머물고 있으나 부치치 총리가 대통령이 되면 대통령의 권한이 지금보다 훨씬 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유고 내전의 여파로 얼마 전까지 극우 민족주의 정당인 세르비아 급진당이 집권했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우익 정당인 세르비아 진보당이 집권하게 되었다.
세르비아의 주요 정당들은 이렇다.
2017년 기준, 세르비아 인구는 702.2만명이다. 남슬라브족의 일파인 세르비아인이 인구의 83%로 다수를 점하고 있다. 두 번째로 많은 헝가리인(3.9%)은 보이보디나를 중심으로 많이 거주하고 있고, 보스니아인(1.8%), 롬족(1.4%), 그 밖에 다른 민족인 알바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불가리아인 등이 거주한다.
세르비아어가 공용어이다. 키릴 문자로마자 모두 사용되나, 키릴 문자의 사용이 보다 보편적이다. 크로아티아어보스니아어와는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방언적 차이에 불과했으나, 현재 정치적인 대립을 배경으로 급속히 분화하는 중이다.
2006년 10월 28일과 29일에 실시한 국민투표로 확정한 헌법 10조 1항에 "세르비아공화국에서는 세르비아어와 키릴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라고 규정했다. 보이보디나 자치주에서는 헝가리계 주민 상당수가 모어(母語)로 헝가리어를 쓰며, 그 밖에 소수 민족 언어도 일부 사용된다.
세르비아는 2006년 9월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프랑코포니 정상회담에 따라 참관국 자격을 획득하였으나, 프랑스어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종교 인구의 85%는 세르비아 정교회(주로 세르비아인)로서 다수를 점하고 있으며, 가톨릭(주로 헝가리인크로아티아인)이 5.5%, 무슬림(주로 보스니아인알바니아인)이 3.2%, 개신교가 1.1%이다.
공산주의 붕괴에 따라 1992년 계획경제에서 혼합경제로 전환하여 경제 발전을 시작했으나,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그로 인한 UN의 경제제재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에는 당재산의 사유화와 외자유치를 추진했지만, 2004년에는 외국인 투자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고 무역적자가 커져 그를 메워줄 경제와 산업이 필요하다. 광공업이 발달했지만, 헝가리폴란드에 비해 경제 발전이 뒤져 있다.



@위키백과
블로그
SNS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최저가호텔
태국 여행 , 태국 여행 경비 , 태국 맛집 , 방콕 여행 , 방콕 여행 경비 , 방콕 맛집 , 대만 여행 , 대만 여행 경비 , 대만 맛집 , 타이완 여행 , 타이완 여행 경비 , 타이완 맛집 , 중국 여행 , 중국 여행 경비 , 중국 맛집 , 베이징 여행 , 베이징 여행 경비 , 베이징 맛집 , 일본 여행 , 일본 여행 경비 , 일본 맛집 , 도쿄 여행 , 도쿄 여행 경비 , 도쿄 맛집 , 오사카 여행 , 오사카 여행 경비 , 오사카 맛집 , 후쿠오카 여행 , 후쿠오카 여행 경비 , 후쿠오카 맛집 , 홍콩 여행 , 홍콩 여행 경비 , 홍콩 맛집 , 마카오 여행 , 마카오 여행 경비 , 마카오 맛집 , 싱가포르 여행 , 싱가포르 여행 경비 , 싱가포르 맛집 , 싱가폴 여행 , 싱가폴 여행 경비 , 싱가폴 맛집 , 필리핀 여행 , 필리핀 여행 경비 , 필리핀 맛집 , 보라카이 여행 , 보라카이 여행 경비 , 보라카이 맛집 , 보홀 여행 , 보홀 여행 경비 , 보홀 맛집 , 세부 여행 , 세부 여행 경비 , 세부 맛집 , 라오스 여행 , 라오스 여행 경비 , 라오스 맛집 , 방비엥 여행 , 방비엥 여행 경비 , 방비엥 맛집 , 루앙프라방 여행 , 루앙프라방 여행 경비 , 루앙프라방 맛집 , 비엔티엔 여행 , 비엔티엔 여행 경비 , 비엔티엔 맛집 , 영국 여행 , 영국 여행 경비 , 영국 맛집 , 런던 여행 , 런던 여행 경비 , 런던 맛집 , 프랑스 여행 , 프랑스 여행 경비 , 프랑스 맛집 , 파리 여행 , 파리 여행 경비 , 파리 맛집 , 니스 여행 , 니스 여행 경비 , 니스 맛집 , 이탈리아 여행 , 이탈리아 여행 경비 , 이탈리아 맛집 , 로마 여행 , 로마 여행 경비 , 로마 맛집 , 베니스 여행 , 베니스 여행 경비 , 베니스 맛집 , 피렌체 여행 , 피렌체 여행 경비 , 피렌체 맛집 , 스페인 여행 , 스페인 여행 경비 , 스페인 맛집 , 바르셀로나 여행 , 바르셀로나 여행 경비 , 바르셀로나 맛집 , 크로아티아 여행 , 크로아티아 여행 경비 , 크로아티아 맛집 , 터키 여행 , 터키 여행 경비 , 터키 맛집 , 체코 여행 , 체코 여행 경비 , 체코 맛집 , 하와이 여행 , 하와이 여행 경비 , 하와이 맛집 , 괌 여행 , 괌 여행 경비 , 괌 맛집